티스토리 뷰

부고장 보이스피싱 & 스미싱 링크 클릭했다면? 대처 방법 총정리

최근에 시민덕희라는 영화를 보았는데요. 훨씬더 보이스 피싱이 치밀해지고 최근에는 딥페이스 기술과 AI목소리까지 나오면 내폰 자체를 해킹하여 ' 피싱' 하는 사례가 정말 많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요즘은 시니어 층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수법이 점점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부고장"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가 유행하면서 피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갑자기 문자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부고장 확인 링크를 클릭하세요." 같은 메시지를 받으면, 호기심에 클릭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절대로 !클릭하지 말라고 하지만 아는 이름이나, 내가 저장한 번호가 있다면?  클릭하지 않을수가 없죠!!!  근데 이 링크가 보이스 피싱이라면? 링크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이 해킹당하거나 금융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큽니다.

만약 실수로 부고장 스미싱 링크를 클릭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부고장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링크를 클릭했을 때 즉시 해야 할 대처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목차

  1. 부고장 스미싱 링크의 위험성 – 왜 조심해야 할까?
  2. 부고장 스미싱 링크를 클릭했다면? 1차 대처법
  3. 개인정보 유출 확인 및 2차 보안 조치 방법
  4. 피해가 발생했다면? 금융사기 대응법
  5. 부고장 스미싱 예방법 및 추가 주의사항

 


1. 부고장 스미싱 링크의 위험성 – 왜 조심해야 할까?

부고장 스미싱은 최근 가장 많이 발생하는 피싱 수법 중 하나입니다. 이 메시지는 장례식 , 돌잔치, 결혼식, 그외 내가 아는 사람의  이름과 번호가 저장된 초대URL 나 부고장을 확인하라는 링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클릭하면 피해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되며, 카톡 및 저장된사진까지 모두 해킹되는 원리인데요. 또한 금융정보를 탈취할 수 있습니다.

부고장 스미싱의 주요 수법

  • 장례식 초청 또는 부고장 확인을 가장한 문자 발송
  • 링크 클릭 시 악성 앱 다운로드 유도
  • 금융 정보, 계좌번호, 신용카드 정보 탈취
  • 피해자 스마트폰을 원격 조종하여 소액결제 및 금융사기 시도

🚨 가장 중요한 점:
📌 출처를 모르는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말 것!
📌 카카오톡, 문자 등으로 받은 부고장 링크는 가족이나 지인에게 확인 후 클릭


2. 부고장 스미싱 링크를 클릭했다면? 1차 대처법

만약 실수로 스미싱 링크를 클릭했다면 즉시 아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1차 대처 방법 (클릭 후 즉시 해야 할 일)

스마트폰을 비행기 모드로 설정

  •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여 추가 해킹을 방지합니다.(빠르게 선행되어야합니다)
    스미싱 앱 설치 여부 확인 및 삭제
  • 안드로이드: 설정 → 애플리케이션 관리에서 모르는 앱 삭제
  • 아이폰: 자동 설치된 악성 앱이 없지만, iOS 보안 설정 확인
    바로 금융사 및 통신사에 신고
  • 주요 은행 및 카드사의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보안 조치 요청
    비밀번호 및 금융정보 변경
  • 은행 앱, SNS, 이메일 등의 비밀번호를 모두 변경

이 단계에서 신속하게 대응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잘 모르겠다? 설명을 이해하기 힘들다? 생각이 되신다면? 자녀분에게 도움을 요청하시거나 혹은 인근 파출소에서 도움을 청해보셔도 됩니다.


3. 개인정보 유출 확인 및 2차 보안 조치 방법

스미싱 링크를 클릭했을 경우, 단순히 앱 설치만이 아니라 개인정보가 이미 유출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보안 조치가 필요합니다.

2차 보안 강화 조치

백신 앱을 설치하여 악성코드 검사 ( 밑에 있는 내용이 어렵다면? 1332번호 바로 연락을 취하세요)

  • 네이버 백신, 알약, V3 Mobile 등 사용
    스마트폰 초기화 (필요 시 선택)
  • 악성코드 감염이 의심될 경우, 데이터를 백업한 후 스마트폰 초기화 진행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금융사 및 개인정보보호센터 활용)
  • 금융감독원: 1332 신고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https://www.privacy.go.kr/

 


 

4. 피해가 발생했다면? 금융사기 대응법

이미 피해가 발생했다면 신속하게 경찰과 금융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

🚨 금융사기 피해 신고 방법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신고 (☎ 182)
금융감독원 금융사기 신고센터 (☎ 1332)
은행 및 카드사에 계좌 정지 요청

피해금액 환불 요청 가능?
만약 사기 피해로 인해 금전적인 피해를 입었다면,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및 금융감독원에 신고하여 계좌 지급정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피해 발생 후 30일 이내에 신고해야 환급 가능성이 높습니다.


 

5. 부고장 스미싱 예방법 및 추가 주의사항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메시지 속 링크는 절대 클릭 금지
스마트폰에서 알 수 없는 앱이 설치되지 않도록 보안 설정 강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스미싱 차단 서비스 신청
금융 관련 앱은 공식 앱스토어에서만 다운로드
정기적으로 스마트폰 백신 검사 실행

🚨 특히 주의할 점

  • 최근에는 "장례식 일정 변경" 등의 문자로도 유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가족, 지인에게 부고장 문자를 받았을 경우 전화 및 2차 확인을 하고 꼭 직접 확인 후 클릭해야 합니다.

스미싱 관련 자주 묻는 질문 & 답변

1️⃣ 부고장 스미싱 링크를 클릭했는데 앱 설치는 안 했어요. 그래도 위험한가요?

👉 단순히 클릭만 했을 경우, 직접적인 해킹 피해는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금융정보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즉시 비밀번호 변경 및 보안 점검을 해야 합니다.

2️⃣ 스미싱으로 인해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는지 확인할 방법이 있나요?

👉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 유출 조회 서비스(https://www.privacy.go.kr/)**를 활용하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실수로 악성 앱을 설치했어요. 어떻게 삭제하나요?

👉 안드로이드: 설정 → 애플리케이션 관리 → 의심되는 앱 삭제
👉 아이폰: 기본적으로 악성 앱이 자동 설치되지 않지만, 설정에서 보안 점검 필요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